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한국사 오픈북 수행평가 1. 을미개혁 내용2.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전이란?3. 화폐정리사업의 결과는?4.
1. 을미개혁 내용2.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전이란?3. 화폐정리사업의 결과는?4. 을사늑약에 대한 설명5. 정미의병의 원인은?고등학교 1학년 한국사 입니다!
간단 요약
1. 을미개혁 내용
을미개혁 (1895-1896년)
친일개화파로 새로 김홍집내각을 성립시키고 을미사변으로 일시 중단된 갑오개혁을 다시 추진하였다. 즉, 을미개혁은 1894년 7월에서 1896년 2월 초까지 약 19개월 동안 세 차례에 걸쳐 실시된 갑오개혁의 마지막 단계
일시:1895년 8월
내용:갑오개혁의 최종단계
태양력 사용
종두법 시행
우체사 설치(근대적 우편제도)
‘건양’ 연호 사용
단발령
근대식 각종 학교 설치
훈련대와 시위대를 합병하여 서울에 친위대, 지방에는 진위대를 설치
2.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전이란?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朝淸商民水陸貿易章程)(1882년)
1882년(고종19) 8월 23일 조선과청나라가 맺은 두 나라 상인의 수륙 양면에 걸친 통상에 관한 규정
임오군란을 계기로 민씨(閔氏)정권에 대한 내정간섭을 강화
3. 화폐정리사업의 결과는?
화폐정리사업(1905-1906년)
1905년부터 1909년까지 일제의 주도로 대한제국 내의 백동화와 엽전을 정리하고 상업은행인 일본 제일은행(第一銀行: 다이이치은행)이 발행한 화폐로 대체한 것을 말한다. 화폐정리사업의 결과로 대한제국의 화폐에 대한 일체의 지배권은 일본제국에 의해 금융지배를 받게 된다.
4. 을사늑약에 대한 설명
제2차한일협약(을사조약 (1905년)1904년 일본은 러시아에 대해 선전포고하고 인천에 병력을 투입하여러일전쟁을 일으켰다. 전쟁 개시와 함께 한일협약을 강요하여 이른바 공수동맹을 맺고 전쟁에 필요한 조선의지원을 강요하였다. 1905년 러일전쟁이 일본의 승리로 기울자 일본은 조선에 대해 외교권 박탈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이른바 제2차 한일협약을 강요하여 체결하게 된다.
5. 정미의병의 원인은?
정미의병(1907년)
일제의 조선침략에 맞서 1907년~1910년 사이에 일어난 구국항일의병 전쟁을 말한다.
일제는 1907년 6월 헤이그 밀사사건을 계기로 고종을 강제로 퇴위시키고, 정미 7조약을 체결하여 한국의 내정과 외정권의 대부분을 통감부가 장악하게 된다. 이어 통감부는 더 나아가 대한제국 군대를 강제해산하여 한국민의 저항을 무력화시키려 했다. 이에 해산군인들을 중심으로 대규모로 의병전쟁이 일어나게 되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