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상담사는 무슨 과목 공부 해야하나요? 청소년 상담가 주로 무슨 과목 공부 성적이 높아야하나요?그리고 무조건 대학교
청소년 상담가 주로 무슨 과목 공부 성적이 높아야하나요?그리고 무조건 대학교 가야하나요?그렇다면 전남권 대학도 추천해주세요
청소년 상담사가 되기 위한 과목, 대학 진학 여부, 그리고 전남권 대학 추천에 대해 답변드리겠습니다.
1. 청소년 상담사가 되려면 어떤 과목을 공부해야 하나요?
청소년 상담사는 국가 자격증으로, 급수별로 필수 및 선택 과목이 정해져 있습니다. 주로 심리학, 상담학, 교육학, 사회복지학, 아동학 등의 학문 분야와 관련된 과목들을 공부하게 됩니다.
* 필수 과목 (예시 - 3급 청소년 상담사 기준):
* 선택 과목 (예시 - 3급 청소년 상담사 기준):
이 외에도 급수별로 '청소년 상담의 이론과 실제', '상담연구방법론', '이상심리', '진로상담', '가족상담' 등 다양한 과목들이 포함됩니다. 대학교에서는 이러한 과목들을 전공 과정에서 배우게 됩니다.
청소년 상담사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관련 분야의 학위가 필수적입니다. 따라서 대학교 또는 대학원에 진학하여 관련 학과를 졸업해야 합니다.
* 3급 청소년상담사: 청소년(지도)학, 교육학, 심리학, 사회사업(복지)학, 정신의학, 아동(복지)학 분야 또는 상담 관련 분야의 학사학위 취득자.
* 2급 청소년상담사: 상담 관련 분야의 석사학위 취득자 또는 학사학위 취득 후 상담 실무경력 3년 이상인 자 등.
전남권에서 청소년 상담 관련 학과를 운영하는 대학교는 다음과 같습니다. 상담 관련 분야는 심리학과, 상담심리학과, 아동/청소년 관련 학과 등 다양한 이름으로 개설되어 있으니, 각 대학의 커리큘럼을 확인하여 본인의 진로 목표와 맞는 곳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학과 선택: 단순히 '청소년 상담'이라는 이름만 보고 선택하기보다는, 학과 커리큘럼에서 심리학 이론, 상담 기법, 발달심리, 청소년 문제론 등 청소년 상담에 필요한 과목들을 얼마나 깊이 있게 다루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실무 경험: 대학교 재학 중에도 청소년 관련 기관에서 봉사활동이나 인턴십을 통해 실무 경험을 쌓는 것이 좋습니다.
* 자격증 준비: 대학교 졸업 후 청소년 상담사 자격증 필기시험과 면접을 준비해야 합니다. 각 급수별 응시 자격과 시험 과목을 미리 확인해 두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