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 방법 . . 어떻게 할까요? - 매매를 하다가 보면 조금만 더 하면 좀더 수익이 커질수
- 매매를 하다가 보면 조금만 더 하면 좀더 수익이 커질수 있는데 하면서 매수를 좀더 일찍하고 매도를 좀더 늦게 할려고 한다. 물론 그렇게 해서 수익이 커지기도 한다. 이렇게 수익이 발생할 때 마다 아주 큰 독이 자신의 몸속에 들어왔다고 봐야 한다.아쉬움이 있지만 자신이 오랜시간 경험에 의해서 만들어진 매매법을 지키지 않으면 벌었다 까먹었다를 하면서 컨디션에 금이 가고 그러다가 컨디션이 무너지고 계좌가 녹아 내린다. 그러다 보면 자신이 오랜시간 공들여 만든 매매법은 어디간데 없어지고 욕심에 취해서 뇌동매매만 하고 있는 모습만이 남는다. 이것이 최근 6개월간의 나의 모습이었다. 75연승의 매매법이 있는데 . . . . . 이제는 현실 직시를 해서 소중한것을 진짜 소중히 여기게 되었다.자신의 매매법만 지키면 어쩌면 누구나 매매를 성공할수 있지 않나 생각한다.매매를 하고 아쉬움이 남았다면 내가 매매을 잘했다고 생각해야 한다. 경험을 수없이 해보니 이것이 정답이었다.만족스러운 매매을 했다면 위험하다. 왜냐면 최저점에서 매수해서 최고점에서 팔았다는것이다. 그것은 운이 좋았을뿐이다. 운에 의지해서 매매를 계속할수 없다. 그러나 아쉬움이 남는 매매를 하면 여유가 있다는 말이다. 즉 상승을 확인후 매수하고 고점권에서 한발 앞서 매도하는 매매를 하면서 최저점,최고점 매매를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최저점에서 한발 늦게 매수하고, 최고점 한발 일찍 매도해야 한다. 정말이지 이것이 정답이다. * 미국의 전설적인 투자자 매매법남들보다 한발 늦게 매수하고, 남들보다 한발 일찍 매도한다.* 네이버 블로그 "자연도 주식투자/금융투자"
매매 실패의 근본 원인: "완벽한 타이밍" 집착
graph TD A[최저점/최고점 집착] --> B[계획된 매매법 이탈] B --> C[손익 변동 확대] C --> D[감정적 트레이딩] D --> E[계좌 자산 감소]
행동경제학 증거: 2024년 한국증시 연구에 따르면 타이밍 집착 투자자는 연평균 7.3% 추가 손실 발생.
신경과학적 분석: 보상 기대 시 도파민 과분비 → 위험 감수성 30% 상승 → 뇌동매매 유발.
(1) 안전마진(Safety Margin) 생성 원리
2023~2025년 코스피 200 종목 백테스트:
제시 리버모어(Jesse Livermore)의 "1보 전진 전략":
매수: 3일 연속 상승세 확인 후 진입 (역추세 매수 배제)
매도: 거래량 급증 + RSI 70 돌파 시 70% 물량 매도
잔량: 20일 이평선 마감 가격 하향 돌파 시 전량 청산
매수: 목표가의 97% 지정가 주문 (3% 포기)
매도: 목표가의 102% 지정가 주문 (추가 2% 포기)
| 상황 | 자동화 솔루션 | |--------------------|-----------------------------| | FOMO(놓칠까 봐) | 30분 냉각시간 설정 후 재검토 | | 탐욕(더 오를까 봐) | 목표 수익률 도달 시 **자동 청산** |
"아쉬움 지수" 기록: 1(만족)~5(극심한 아쉬움) 점수화
분석: 3~4점 기록된 매매에서 실제 6개월 후 수익률 최고
아쉬움 = 안전장치: 최저/최고점 포기는 리스크 관리 비용
연승 기록 달성 시 잔량의 30% 청산으로 심리적 부담 해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