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황장애.......................... 안녕하세요 현재 고등학교 2학년 재학중에 있고 최근에 어떤 사건을 계기로
안녕하세요 현재 고등학교 2학년 재학중에 있고 최근에 어떤 사건을 계기로 공황장애로 추정되는 정신병을 앓게되었습니다인터넷으로 증상을 몇개 찾아봐서 알고 있는건 몇개 있습니다.공황발작 증상은 지금까지 스트레스가 심한 시절에 5번 정도 경험했습니다.지금은 학업에 집중하기 보단 하고 싶은 일에 집중하며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중이고 발작 증상은 거의 없다시피한 상태입니다.참고로 제가 공황장애가 생긴 계기는 이성간의 갈등, 인간관계에서의 스트레스 때문인데 이따금씩 하루에 많으면 하루종일, 적으면 2~3번씩 불안해지고 약하게나마 계속 증상이 절 괴롭힙니다.부모님께 얘기해본 결과 부모님은 정신과약에 대한 어느정도의 우려때문에 먹길 원하지 않으시는데,이런 상황에는 약을 복용하는게 맞을까요?그리고 약이 가격은 어느정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ex) 일주일치에 ~~원정리하자면1. 약을 복용 할지 말지2. 약의 부작용이나 성장에 미치는 영향3. 약의 가격현재는 시청에서 운영하는 청소년 센터에서 심리상담을 받는 중입니다
공황장애로 힘든 시간을 보내고 계시다니 정말 마음이 아픕니다. 고등학생이라는 중요한 시기에 이런 어려움을 겪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스로 증상도 파악하고, 상담도 받고 계시다는 점에서 정말 용기 있고 대단하다고 생각해요.
1) 약을 복용할지 말지 현재 심리상담을 받고 있고, 발작 증상은 거의 없다고 하셨지만 불안 증상이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면,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정확한 진단과 함께 전문가의 의견을 듣는 것이 가장 중요해요.
약물 치료는 꼭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되며, 단기간에 증상을 완화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어요. 부모님께서 약에 대해 우려가 있으신 것도 이해되지만, 현대의 정신과 약물은 비교적 안전하고, 전문의가 용량을 조절해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어요.
무엇보다 본인의 삶이 너무 힘들다면 약물도 하나의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검토해보는 게 좋습니다.
방송에 많은 연예인들도 공황장애를 앓고 꾸준히 약을 복용한다고 하면서 방송에 나오는 걸 볼 수 있잖아요.. 심리상담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니 꼭 전문의와 상담하시고 약 복용 여부를 판단하시기를 바랍니다.
특히 신경정신과 선택시 주변에 잘 알아보시고 상담을 잘 해주시는 의원으로 방문하셔서 증상과 함께 고민되시는 부분 잘 설명드리시기 바랍니다.
2) 약의 부작용이나 성장에 미치는 영향 공황장애에 주로 사용하는 약물은 항우울제(SSRI계열)나 항불안제인데, 일부 사람들에게는 졸림, 소화불량, 어지러움 등의 가벼운 부작용이 있을 수 있어요.
하지만 대부분은 시간이 지나면 적응되거나, 용량 조절로 완화돼요.
성장기 청소년의 경우 약물 선택에 더욱 신중하게 접근하니, 정신과 전문의와 상담하면서 부작용과 이점에 대해 충분히 설명을 듣고 결정하시면 됩니다.
3) 약의 가격 정확한 약은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건강보험 적용을 받을 경우 1주일치 기준으로 5,000원에서 15,000원 정도면 충분한 경우가 많아요.
약국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을 수 있지만, 보험 적용이 되니까 부담스러운 수준은 아닙니다.
결론적으로, - 상담만으로 해결되지 않고 일상생활이 계속 힘들다면 약물 치료를 병행하는 것도 좋은 선택입니다. - 약은 단기간에 증상을 줄이고 삶의 안정을 찾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어요. - 부모님과 함께 정신건강의학과를 방문해 정확한 진단과 설명을 듣는 것을 추천드려요.
아래 블로그내용도 한번 참고해 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공황장애 증상부터 자가진단 체크리스트, 약물치료까지
‘갑자기 숨이 막히고, 심장이 미친 듯이 뛰고, 죽을 것 같은 공포가 몰려옵니다.’이런 경험을 해본 적 있으신가요? 혹시 그것이 공황장애의 시작일 수도 있습니다. 공황장애 뜻과 진단의 시작 공황장애는 특별한 이유 없이 극심한 공포와 불안이 갑자기 밀려드는 정신건강 질환입니다.흔히 ‘패닉디소더(Panic Disorder)’라고도 불리며, 전체 인구의 약 1~3%가 일생 중 한 번 이상 겪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공황장애는 단순한 ‘긴장감’이나 ‘불안감’과는 차원이 다릅니다.예고 없이 찾아오는 공황발작이 핵심 증상이며, 그 강도는 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