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친구랑 싸우고 나서 화해를 했는데 두렵습니다 저는 작년 8월 쯤 타학교 친구와 친해졌습니다. 친해진 이유는 학원을
저는 작년 8월 쯤 타학교 친구와 친해졌습니다. 친해진 이유는 학원을 같이 다녀서 그랬습니다. 하지만 올해 5월 그 친구가 제 험담을 한다는 타학교의 다른 친구가 말해줬습니다. 저는 참을 수 없어서 왜 험담하냐고 말하고 그 친구가 앞으로 안하겠다 했습니다. 그러다 몇일전에 화해를 했는데 그 친구가 제 비밀을 다른 친구들에게 말하고 다닐까봐 두렵습니다.
아이고, 친구랑 싸우고 어렵게 화해까지 하셨는데, 오히려 마음이 더 불안하고 두려우시다니 정말 힘드시겠어요. 특히 비밀까지 공유했던 친구라면 더더욱 마음 졸일 것 같아요. 질문자님의 그런 마음 충분히 이해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제가 몇 가지 조언을 해 드릴게요.
친구와 화해 후 불안함, 어떻게 대처할까요?
친구의 험담 때문에 다투고 화해까지 한 상황이라면, 친구의 행동에 대한 신뢰가 많이 깨진 상태일 거예요. 이런 상황에서 '내 비밀이 새어나갈까 봐' 두려움을 느끼는 건 지극히 정상적인 감정입니다.
1. 상대방의 의도 파악과 신뢰 회복의 가능성 판단
진정성 확인: 친구가 험담을 앞으로 안 하겠다고 약속했고, 화해를 했다고는 하지만, 진심으로 반성하고 관계를 회복하고 싶어 하는지, 아니면 단지 상황을 모면하기 위해 임시로 화해를 한 것인지 상대방의 태도를 잘 살펴보세요.
신뢰는 시간과 노력: 깨진 신뢰는 하루아침에 회복되지 않아요. 화해는 시작일 뿐이고, 앞으로 친구의 행동을 보면서 다시 신뢰를 쌓아갈 수 있는지 질문자님이 판단해야 할 문제예요.
2. 불안감을 줄이기 위한 실질적인 행동
새로운 비밀은 공유하지 않기: 가장 확실한 방법은 당분간 그 친구에게 새로운 비밀이나 남에게 말하기 싫은 속마음을 이야기하지 않는 것입니다. 비밀 공유는 신뢰가 완전히 회복된 후에 천천히 다시 시작해도 늦지 않아요.
과거 비밀의 중요도 파악: 혹시 이미 말해버린 비밀 중에 정말 파장이 큰 내용이 있다면, 친구와 대화할 때 "내가 너를 믿으니까 예전에 이런저런 이야기도 했는데, 혹시라도 그 얘기는 정말 다른 친구들에게 말하지 말아 줬으면 좋겠다"라고 명확하게 다시 한 번 부탁해 보세요. 이때 감정적으로 말고, 진지하고 차분하게 전달하는 것이 중요해요.
관찰과 경계: 친구가 다시 험담을 하거나, 질문자님의 비밀을 발설하는지 주의 깊게 주변을 살피고 다른 친구들의 반응을 주시해야 합니다. 만약 그런 조짐이 보인다면 즉시 대처해야 해요.
3. 친구 관계 재정립하기
기대치 조절: 이번 일로 그 친구에 대한 기대치를 조금 낮추는 것이 질문자님의 마음 건강에 도움이 될 거예요. 세상 모든 친구가 내 속마음을 털어놓을 수 있는 '베스트 프렌드'일 필요는 없어요. 친구 관계에도 '단계'가 있답니다.
거리 두기: 혹시라도 친구가 다시 문제를 일으킬 경우를 대비해서 적절한 거리를 두는 연습을 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학원에서만 교류하고, 사적인 모임이나 깊은 대화는 피하는 식으로요.
4. 혼자 감당하지 않기
신뢰하는 다른 친구나 어른에게 상담: 질문자님이 이 친구에게 받은 배신감이나 불안감을 신뢰할 수 있는 다른 친구나 부모님, 선생님 등에게 이야기해보세요. 혼자 고민을 안고 가는 것보다 훨씬 마음이 편해지고, 조언을 얻을 수도 있습니다.
화해는 했지만 불안한 마음이 드는 건 당연합니다. 스스로를 잘 보호하고, 관계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현명하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힘내세요, 질문자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