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방송작가되는법 구성작가가 되고싶은 고2학생입니다. 현재 대학교를 어디가야할지 고민하고 있는데요. 생기부는 심리학분야로
구성작가가 되고싶은 고2학생입니다. 현재 대학교를 어디가야할지 고민하고 있는데요. 생기부는 심리학분야로 채워서 바꾸기 힘들것같습니다. 그래서 지금 제가 고려하고 있는 것이한국방송아카데미(대학교 대신 진학) VS 심리학과 대학 진학 후 MBC 아카데미인데요. 어느것이 더 나은 선택일지 궁금합니다.각각 장단점 알려주세요 !!ㅠ
안녕하세요 질문자님 진로 방향때문에 고민 많으실 거 같아요!
✔️ ① 한국방송아카데미 진학 (대학교 대신 방송 관련 사설 교육기관 선택)
장점
방송 현장 중심의 커리큘럼: 실무 위주 수업으로 방송작가 세계를 빠르게 체험하고 진입할 수 있어요.
빠른 진입 가능성: 대학 졸업보다 훨씬 빠른 시점에 작가 지망생으로 현장 인턴을 경험해볼 수 있어요.
네트워크 형성: 실무 강사나 작가, PD들과 직접 연결될 수 있어 진입의 발판이 될 수 있어요.
단점
정규 학위가 없음: 이후 진로 변경 시(예: 방송 외 직종이나 공채 지원 등) 불리할 수 있어요.
실력과 인맥에 따라 성과 편차 큼: 학벌이 아닌 실전 실력으로 승부해야 하므로 결과가 불확실해요.
사회 인식이나 부모님의 우려 가능성: 전통적인 대학 진학 루트를 벗어나기 때문에 설득이 필요할 수 있어요.
✔️ ② 심리학과 대학 진학 후 MBC 아카데미 등 사설교육기관 이용
장점
학위 확보: 심리학 전공을 통해 4년제 학위를 갖추면서, 다른 분야로 진로 변경 시에도 유리해요.
생기부 활용 가능: 현재 심리학으로 채운 생기부를 그대로 살려 입시 준비가 가능해요.
심리학 전공의 강점: 인간 심리와 커뮤니케이션 이해가 방송작가 기획력에 도움이 될 수 있어요.
대학 재학 중 방송 관련 활동(방송동아리, 공모전, 인턴 등) 병행 가능
단점
시간적 여유 부족: 대학 공부 + 방송 준비 병행이 쉽지 않아 체력적으로 힘들 수 있어요.
방송 진입이 늦어짐: 실제 방송 현장에 뛰어드는 시점은 상대적으로 늦어질 수 있어요.
방송계 진입엔 결국 ‘포트폴리오’가 핵심이라, 대학 졸업장만으로는 입문 보장이 안 될 수 있답니다.
✔️ 방송작가 진입 자체는 학력보다 실력이 중요해요
결론적으로, 방송작가의 세계는 학력보다 실력 + 네트워크 + 경험이 더 중요한 곳이에요.
대학을 가든, 아카데미를 가든 결국 꾸준히 글을 써보고, 포트폴리오를 만들고, 현장을 경험하는 노력이 진입의 관건이에요.
본인의 성향이 ‘빨리 실전에 뛰어들고 싶다’면 아카데미 쪽,
‘기초 다지며 천천히 방향 탐색하고 싶다’면 심리학과 후 방송 진입도 나쁘지 않아요.
도움 되셨다면 채택 부탁드려요 !
하나의 질문도 대충 리딩하지 않습니다.
고민은 해결하고, 내가 걸어온 길과 펼쳐질 길을 읽는 시간.
코디사주·타로는 프리미엄입니다.
▼ 엑스퍼트 서비스 보러가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