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 辵가 부수로 쓰였을때 손글씨 헷깔려요. 이건 辵에 대한 나무위키 설명인데요,여기서 (4)와 (1)의 생김새가 제 눈엔
이건 辵에 대한 나무위키 설명인데요,여기서 (4)와 (1)의 생김새가 제 눈엔 똑같은데뭐가 다르다는거죠? ㅠㅠ 둘다 점이 2개고 똑같이 생긴것 같은데요 ㅠㅠ.
4번은 점이 2개에 중간에 꺾기도 들어갔죠. 같이 들어가면 안 돼요. 원래는 두번째 점을 이어 써서 꺾기가 되는 거니까.
https://kagurazaka.mycafe24.com/%ec%9d%bc%eb%b3%b8%ec%96%b4-%ed%95%9c%ec%9e%90-%eb%b6%80%ec%88%98-%e3%81%97%e3%82%93%e3%81%ab%e3%82%87%e3%81%86%ec%b1%85%eb%b0%9b%ec%b9%a8/

일본어 한자 부수 しんにょう(책받침) – Kagruazaka 일본어
일본어 한자 부수 しんにょう(책받침) 작성자 kagurazaka in"의 한국어 번역은 "안"입니다. 일본어 지식 책받침 부수 辶는 일본어로는 「しんにょう」 또는 「しんにゅう」라고 한다. 道, 近, 通 등의 한자에서 볼 수 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자기 마음대로 써도 되지만 일본에서는 일반적으로 손으로 쓸 때 점 1개로 쓴다. 제일 먼저 기본이 되는 형태는 ⻍(2점 4획)이다. 이는 강희자전에서 채택된 형태로 강희자전에 실린 글자 모양은 각국에서 표준 자형을 만들 때 기초가 되었다. 일본에서는 해당 부수는 상용한자에서는 ⻌(1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