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어릴때 십자인대를 크게다친적이 있는데 그때 수술하려면 성장판을 건든다고 비수술로 재활치료를 받았습니다이렇게되면 군입대 하게되는건가요? 서류같은건 안가져가도 되는거죠?
아래 전방 십자인대파열 군대 신체검사 기준을 참조하십시요.
- 군대 십자인대 징병 신체검사(신검) 기준(2024년 2월 1일 시행)
1) 경도: 인대 손상이 MRI 검사에서 확인되고 수술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학적 검사상 경도의 불안정성이 있는 경우 또는 이러한 손상으로 수술을 한 경우...2급 현역
2) 중등도: 전ㆍ후방십자인대 손상으로서 중등도의 불안정성이 확인된 경우
주: 중등도의 불안정성이란 수술 전 MRI 검사상 전방십자인대나 후방십자인대 손상이 50% 초과 70% 이하인 경우 또는 부하검사 상 6mm 이상 10mm 이하의 불안정성을 말한다.
가) 인대 손상이 MRI 검사에서 확인되고 수술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학적 검사상 중등도의 불안정성이 있는 경우 또는 이러한 손상으로 수술하여 경도 이내의 불안정성이 있는 경우...3급 현역
나) 인대 손상이 MRI 검사에서 확인되고 이학적 검사상 중등도의 불안정성이 있어 수술한 후에도 중등도 이상의 불안정성이 지속되는 경우...4급 공익
3) 고도: 전ㆍ후방십자인대 손상으로서 고도의 불안정성이 확인된 경우
주: 고도의 불안정성이란 수술 전 MRI 검사상 전방십자인대나 후방십자인대 손상이 70%를 초과하는 경우 또는 부하검사상 10mm를 초과하는 불안정성을 말한다.
가) 신체검사 당시 전ㆍ후방십자인대 손상이 MRI 검사에서 확인되고 이학적ㆍ영상의학적 검사상 고도의
나) 인대재건술을 시행한 경우로서 수술 전의 전ㆍ후방십자인대 손상이 MRI 검사에서 확인되고, 이학적 검사상 고도의 불안정성이 있으며, 관절경 소견상 전ㆍ후방십자인대 손상이 확인되는 경우...4급 공익
다) 인대재건술 시행 후 고도의 불안정성이 확인되어 인대재건술을 재시행한 경우...5급 군면제
라) 현역복무 중 전ㆍ후방십자인대가 손상된 경우로서 MRI 검사에서 전ㆍ후방십자인대 손상이 확인되고 이학적 검사상 고도의 불안정성이 있어 이로 인한 인대재건술을 시행한 경우...5급 군면제 의병전역.
- 불안정성 무릎관절(십자인대, 측부인대) 군대 신검(재검) 제출서류 :
병무용 진단서, 의무기록지사본,수술기록지, 관절경사진(관절경적 수술을 시행한 경우), MRI(수술전에 찍은 것)
그리고, 무릎 수술 전후, 무릎 충격 50% 완화, 미국의사 처방 지코일 신발(군화)와 rx걷기 활용 권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