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누리호 4차 발사에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역할은 무엇인가요? 누리호 4차 발사에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체계종합기업으로서 어떤 역할을 담당하는지, 그리고 이전

누리호 4차 발사에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체계종합기업으로서 어떤 역할을 담당하는지, 그리고 이전 발사들과 비교했을 때 어떤 점이 달라지는지 궁금합니다. 발사체 제작부터 조립, 시험 과정까지 한화의 주도 하에 이루어지는 주요 변화들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역할 변화: '제작'부터 '시험'까지 주도
누리호 4차 발사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발사체 제작의 전 과정을 주관하는 첫 번째 사례입니다. 이전 발사들과 비교했을 때, 한화의 역할은 다음과 같이 크게 달라졌습니다.
제작 주도: 기존에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이 주도하고 한화는 주요 부품 제작에만 참여했습니다. 하지만 4차 발사부터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구성품 관리부터 각 단의 조립, 그리고 전기체 총조립까지 제작 전반을 책임집니다.
시험 과정 공동 주관: 발사 전 추진제 충전 및 배출 사전시험(WDR) 등 중요한 시험 과정 역시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항우연과 공동으로 진행하며 기술적인 주도권을 확보했습니다.
기술 이전의 첫 단계: 4차 발사는 항우연이 그동안 쌓아온 발사체 기술을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 이전하는 중요한 과정의 일환입니다. 이번 발사를 통해 기술 이전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향후 6차 발사부터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순천에 구축 중인 단조립장에서 발사체 조립을 직접 수행하게 될 예정입니다.
이전 발사와의 주요 차이점
누리호 4차 발사는 단순한 기술적 시험을 넘어, 우주 산업 생태계의 패러다임 변화를 상징합니다.
민간 주도 발사 시작: 1차부터 3차 발사까지 항우연이 발사의 총책임자 역할을 했다면, 4차 발사부터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실질적인 주관사로서 제작과 조립을 이끌고 있습니다. 이는 '뉴스페이스(New Space)' 시대의 서막을 여는 중요한 첫걸음으로 평가됩니다.
위성 탑재체의 변화: 4차 발사에는 차세대 중형 위성 3호 외에 여러 큐브 위성들이 탑재될 예정입니다. 이는 우주 분야 기술에 대한 실증을 검증하려는 목적이 크며, 다양한 민간 기업과 연구 기관이 개발한 탑재체를 싣고 우주로 향하는 의미 있는 시도입니다.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