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i
>> 글 이어보기 <<
8월달에 일본 여행 가도 괜찮을까요? 지금 남자친구랑 79일 2달 정도 됐고 처음 만난지는 4달정도 지났는데
인천 공항 출발 비행기 노선 중에서 인천 공항에서 미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독일,
8월달에 일본 여행 가도 괜찮을까요? 지금 남자친구랑 79일 2달 정도 됐고 처음 만난지는 4달정도 지났는데
블루예티 마이크랑 마오노 PD100X 차이 블루 예티 마이크랑 마오노 PD100X랑 둘중에 누가더 좋나요? 고음 같은건
아고다 항공권 아고다에서 항공권검색을 했는데검색금액과 예약확정금액이 틀린데 왜그런건가요?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대한민국에 민영화 된게 어떤 것들이 있나요?
위에 글 이어보기 클릭하면 더 볼 수있어요
대한민국에 민영화 된게 어떤 것들이 있나요?
된게 어떤 것들이 있나요?
i
대한민국에서 민영화된 주요 기업 및 기관
1. 통신 분야
✅ KT (한국통신)
1981년 한국전기통신공사로 설립 → 2002년 완전 민영화
✅ SK텔레콤 (구 한국이동통신)
1984년 공기업으로 출범 → 1994년 SK그룹이 인수하여 완전 민영화
✅ LG유플러스 (구 데이콤 & 하나로통신 포함)
1990년대 초반부터 점진적 민영화 진행
LG그룹이 최종적으로 인수
2. 금융 분야
✅ 우리은행 (구 한빛은행)
2001년 공적자금 투입 후 국유화 → 2016년 민영화 완료
✅ 한국증권거래소 (현 한국거래소, KRX)
과거 공기업 형태였으나 2005년 민영화
✅ 기업은행 (IBK) (부분적 민영화)
여전히 정부 지분이 50% 이상이지만, 일부 지분이 민간에 공개됨
✅ 산업은행 (KDB) (부분적 민영화 논의 중)
현재 국책은행이지만, 민영화 가능성 지속 논의
3. 에너지 및 인프라 분야
✅ 한국전력 자회사 일부 (한전 발전 5사, 민자 발전소 등)
2001년 발전 부문이 한전에서 분리되며 일부 발전회사는 민영화
한국전력 자체는 여전히 공기업
✅ 가스공사 일부 지분
한국가스공사는 여전히 공기업이지만, 일부 지분이 민간에 매각됨
✅ 인천국제공항공사 (부분적 민영화 시도)
2000년 개항 이후 민영화 추진 논의가 있었지만, 현재는 공기업 유지
✅ 철도 (KTX 민영화 시도 사례)
수서고속철도(SRT, SR)가 민간 기업 형태로 운영되나, 정부 영향력 큼
4. 기타 공기업 & 기관
✅ 포스코 (구 포항제철)
1968년 공기업으로 설립 → 2000년 완전 민영화
✅ 대한항공 (구 국영 항공사)
1969년 한진그룹이 인수 → 민영화 완료
✅ 한국담배인삼공사 (현 KT&G)
2002년 정부 지분 매각 후 완전 민영화
✅ 대한생명보험 (현 한화생명)
2002년 한화그룹이 인수
✅ 대우조선해양 (구 대우중공업 조선 부문, 현재 한화오션)
2023년 한화그룹이 인수하여 민영화
✅ 현대건설
과거 공기업 성격이 있었으나 2000년대 현대차그룹이 인수
✅ 한국중공업 (현 두산중공업, 두산에너빌리티)
2000년대 두산그룹이 인수
https://creatorkim100.tistory.com/ creatorkim100 님의 블로그
creatorkim100 님의 블로그 입니다.
creatorkim100.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