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시간 개념이 언제부터 도입 되었나요?
️ 시간 개념의 기원과 발전
1. 자연 시간: 고대인의 시간 인식
태양과 달의 주기를 기준으로 시간 개념이 처음 생김.
낮과 밤, 계절의 변화 등을 통해 시간 흐름을 인식함.
2. 기록된 시간 개념의 시작 (기원전 3,000년경)
고대 이집트
태양시계(해시계) 사용: 태양의 그림자를 이용해 시간을 측정
하루를 12개 구간으로 나눔 (후에 24시간 체계의 기반이 됨)
바빌로니아
60진법 사용 → 오늘날 ‘1시간 = 60분, 1분 = 60초’ 개념의 기초
천문학 발달로 달력과 시간 단위가 정교해짐
3. 현대 시간 단위의 기원
단위
기원
설명
1일
고대
지구의 자전(낮과 밤)
1년
고대
지구의 태양 공전 주기 (계절 변화)
12개월
바빌로니아·로마
달의 주기 기준, 후에 로마에서 재정리
24시간
고대 이집트
낮과 밤을 각각 12시간으로 나눔
60분, 60초
바빌로니아
60진법을 사용한 고대 수 체계 기반
그레고리력 (현재 달력 체계)
1582년, 교황 그레고리우스 13세
율리우스력을 수정하여 도입
4. 정확한 시간 측정의 발전
시기
기술
고대
해시계, 물시계
중세
기계식 시계 (14세기 유럽)
17세기
진자 시계 (갈릴레이 & 호이겐스)
20세기
원자 시계 → 국제 표준시(UTC) 확립
결론: “지금의 시간 개념은 오랜 진화의 산물”
자연의 주기 → 관찰 → 단위화 → 도구 개발 → 국제 표준화의 과정을 거쳐
지금처럼 초·분·시·일·월·년 단위로 정밀하게 측정하고 사용하는 것은 불과 몇 백 년 전부터입니다.
당신에 도움이 되는 블로그, 우리들의 일상입니다. 한번 둘러보세요~^^ image 우리들의 일상
4250.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