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호텔 등급평가관한 조그마한 호텔에서 근무하는 사람입니다. 현재 호텔에서 등급평가를 실행할 예정인데 전에
조그마한 호텔에서 근무하는 사람입니다. 현재 호텔에서 등급평가를 실행할 예정인데 전에 다니던 호텔에서도 4성 등급평가를 받은 적이 있었습니다. 약 10년전 일인데 그 당시에는 제가 많은 기여를 하지 않았지만 지금은 상황이 다르네요. 등급평가원이 왔을 때 주방도 방문하여 유통기한 등 여러가지를 확인할텐데 어렴풋한 제 기억으로는 주방은 크게 확인하지 않았던걸로 기억하는데요. 그래도 지금 다른직원들과 준비중이긴 한데 주로 어떤점을 중심으로 확인하는지 궁굼합니다.
호텔 등급평가 준비로 바쁘시겠군요. 특히 주방 평가에 대해 궁금해하시는 상황에 대해 잘 알겠습니다. 10년 전 경험으로는 주방 확인이 크지 않았던 것 같아 현재 준비 방향에 대해 고민이 되시는 것 같습니다.
호텔 등급평가는 한국관광협회중앙회 등에서 실시하며, 호텔의 시설, 서비스, 위생 및 안전 관리 등 다양한 항목을 종합적으로 평가합니다. 등급평가원은 호텔의 규모와 등급(1성급부터 5성급까지)에 따라 평가 기준과 배점에 차이가 있지만 전반적인 운영 실태를 확인합니다.
주방은 호텔 내 식음료 서비스와 직결되는 중요한 부분이므로, 등급평가 시 위생 및 안전 관리 상태를 중점적으로 확인합니다. 10년 전 경험과 달리 현재의 등급평가 기준은 위생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습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위생 및 방역 관련 항목이 강화되기도 했습니다.
주방 등급평가 시 주로 다음과 같은 점들을 중심으로 확인합니다.
식재료 관리:
유통기한 확인: 보관 중인 식재료의 유통기한이 잘 관리되고 있는지, 유통기한이 지난 식재료는 없는지 꼼꼼하게 확인합니다.
보관 상태: 식재료별 적정 보관 온도 및 습도가 유지되고 있는지, 냉장/냉동고 관리는 잘 되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교차 오염 방지를 위한 구획 분리 등도 중요합니다.
원산지 표시: 식재료의 원산지 표시가 정확하게 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조리 과정 위생:
개인 위생: 조리 종사자들의 개인위생 상태 (손 씻기, 위생모 착용, 마스크 착용 등)를 확인합니다.
조리 기구 및 시설 청결: 조리대, 환기 시설, 조리 기구 등이 청결하게 유지되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식품 취급 방식: 식품의 해동, 가열, 냉각 등 각 단계가 위생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주방 시설 및 환경:
청결 상태: 주방 전체의 청결 상태, 바닥, 벽, 천장 등의 위생 상태를 확인합니다.
해충 방지: 해충(쥐, 바퀴벌레 등) 방지 시스템이 잘 갖추어져 있고 관리되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쓰레기 관리: 쓰레기 분리수거 및 처리 시스템이 위생적으로 관리되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서류 확인:
위생 관련 기록: 주방 위생 점검 일지, 식재료 입고/출고 기록, 온도 관리 기록 등 위생 관련 서류가 잘 작성 및 보관되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직원 건강진단: 조리 종사자들의 건강진단 결과 등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등급평가원은 단순히 눈으로 확인하는 것 외에 관련 서류를 요청하거나 직원에게 질문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평가를 진행합니다.
준비 시 중점 사항
일상적인 위생 관리 강화: 등급평가를 위해 단기적으로 준비하기보다는 평소 주방 위생 및 안전 관리를 철저히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매뉴얼 숙지: 주방 직원들이 위생 관리 매뉴얼을 정확하게 숙지하고 실천하도록 교육해야 합니다.
서류 준비: 위생 관련 기록들을 빠짐없이, 정확하게 작성하고 정리해 두어야 합니다.
직원 교육: 평가원의 질문에 당황하지 않고 자신 있게 답변할 수 있도록 직원들에게 등급평가 절차 및 주요 확인 사항에 대해 미리 교육하는 것이 좋습니다.
호텔 등급평가 기준은 한국관광협회중앙회 웹사이트 등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등급별 세부 평가 기준을 참고하시어 주방뿐만 아니라 다른 영역의 평가 준비도 철저히 하시면 좋은 결과를 얻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 성공적인 등급평가를 받으시기를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