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도와주세요 강박증 점점 강박증에 대해서 힘이든다는것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병원에서 약복용을 제외하고 어떠한
점점 강박증에 대해서 힘이든다는것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병원에서 약복용을 제외하고 어떠한 치료를 하나요?
강박증으로 인해 점점 힘이 드신다니, 그 마음이 얼마나 무겁고 답답하실지 깊이 공감합니다. 매 순간 떠오르는 생각이나 반복적인 행동들로 인해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으실 때마다 얼마나 지치고 외로운 싸움을 하고 계실지 상상조차 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자신의 어려움을 인지하고 도움을 찾으려는 용기를 내신 것 자체가 정말 중요하고 대단한 첫걸음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용기에 진심으로 박수를 보내드리고 싶어요.
병원에서 약물 치료 외에 어떤 치료를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해하시는군요. 다행히도 강박증에는 약물 치료 외에도 효과적인 여러 심리치료 방법들이 있습니다. 이러한 치료들은 강박적인 생각과 행동의 고리를 끊어내고, 삶의 주도권을 되찾는 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비약물적 치료 방법으로는 **인지행동치료(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가 있습니다. 특히 강박증에는 인지행동치료의 한 종류인 노출 및 반응 방지 (Exposure and Response Prevention, ERP) 기법이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노출 및 반응 방지 (ERP) 치료:
이 치료는 마치 우리가 두려워하는 대상에 조금씩 익숙해지도록 연습하는 것과 비슷해요. 강박적인 생각을 유발하는 상황이나 대상(노출)에 의도적으로 직면하고, 그때마다 하던 강박적인 행동(반응)을 하지 않고 견뎌내는 연습(반응 방지)을 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오염에 대한 강박이 있다면 일부러 조금 덜 깨끗한 물건을 만져보고, 그 후에 손을 씻고 싶은 충동을 참아보는 연습을 할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불안감이 커질 수 있지만,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며 안전하고 체계적인 계획 하에 점진적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불안감을 다루는 힘을 키울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을 통해 "강박 행동을 하지 않아도 생각만큼 끔찍한 일이 일어나지 않는구나", "불안감은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줄어드는구나" 하는 것을 몸소 체험하며 배우게 됩니다. 마치 자전거 타기를 배울 때 넘어질까 두렵지만 계속 연습하다 보면 어느새 능숙하게 탈 수 있게 되는 것처럼요.
인지치료 (Cognitive Therapy):
강박증을 악화시키는 비합리적이거나 왜곡된 생각들을 찾아내고, 이를 보다 현실적이고 건강한 생각으로 바꾸도록 돕는 치료입니다. 예를 들어 "이 문을 세 번 잠그지 않으면 끔찍한 일이 생길 거야"라는 생각이 들 때, 그 생각의 근거가 무엇인지, 정말 그럴 가능성이 얼마나 되는지 등을 탐색하며 생각의 패턴을 교정해 나갑니다.
생각이 바뀌면 감정과 행동도 자연스럽게 변화할 수 있습니다.
수용전념치료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CT):
불편한 강박적 생각이나 감정을 없애려고 싸우기보다는, 그것들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고 자신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에 따라 행동하는 데 집중하도록 돕습니다. 강박적 사고가 떠오르더라도, 그것에 휘둘리지 않고 자신의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힘을 실어주는 치료입니다.
이러한 심리치료들은 임상심리전문가와의 꾸준한 상담과 훈련을 통해 진행됩니다. 마치 개인 트레이너와 함께 운동 계획을 세우고 꾸준히 운동하며 건강을 되찾는 것처럼,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마음의 근육을 단련한다고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병원에서는 질문자님의 상태를 정확히 평가한 후, 가장 적합한 치료 계획을 함께 논의하고 세워나갈 것입니다. 약물 치료와 심리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심리치료만으로도 충분한 호전을 기대할 수도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전문가와 충분히 소통하며 자신에게 맞는 길을 찾아가는 과정입니다.
지금 느끼시는 힘듦이 결코 질문자님의 나약함 때문이 아니며, 강박증은 누구에게나 찾아올 수 있는 어려움이라는 것을 꼭 기억해주세요. 그리고 적절한 도움과 꾸준한 노력을 통해 분명히 이겨내고 더 편안한 일상을 되찾으실 수 있습니다. 그 길을 걷는 동안 혼자라고 생각하지 마시고, 언제든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질문자님의 용기와 노력을 항상 응원하겠습니다. 힘내세요!